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왜? -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 이유 및 각각의 장단점 analysis(분석) , 부작용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9 16:00
본문
Download : 발표자료A+.ppt
이에 현행 상대평가 제도와 새롭게 추진 중인 절대평가 제도의 concept(개념) 및 도입 취지와 장단점 등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고교 내신 평가 대책에 대한 저의 생각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참고자료로 많은 도움 되길 바라며 좋은 구매 평가 부탁드립니다~
그 동안 교육학자들을 중심으로 상대평가가 비교육적인 평가방법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바 있음
심화 선택형 교육과정에 적합
여기서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란, 보통 교육목표(학습지도의 목표)를 가리킴
보통 정상분포곡선 theory(이론)에 따름
예를 들어 100명을 5단계로 평가할 경우 상위로부터 순서에 따라 7·24·38·24·7의 비율로 평점을 매김





목차
다른 집단과 성적비교 가능
본문 내용 ★
절대평가로의 전환
상대평가
외형적으로 볼 때에는 ‘등급’이란 단어 하나 빠진 것 같지만, 앞으론 대학이 등급을 대신해 수험생의 교과목 별 원점수를 기준으로 내신을 자율적으로 산출한다는 점에서 큰 변화가 있음
-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개념
Download : 발표자료A+.ppt( 25 )
원점수, 평균(average)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이수 학생 수만 공개
레포트 > 교육계열
2.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3. 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추진
5. 절대평가, 問題點은 없는가?
6. 절대평가 전환, 찬성 VS 반대
상대평가 → 절대평가
상대평가는 학생들의 능력을 개인적 속성 이나 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는 問題點이 있음
8. 참고data(자료)
- 비교육적 평가 방법
- 주요 내용
특히, 상대평가로 인해 학교 현장에 과열 경쟁이 빚어지면서 심각한 폐단이 드러남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는 방법
-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장점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상대평가 사용
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왜? -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 이유 및 각각의 장단점 analysis(분석) , 부작용 해소 대책 모색 등
개인의 교육목표 달성 수준 판단 가능
내신 9등급제 폐지
절대평가란?
새로운 내신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개별 학생의 변별력 확보
절대평가
절대평가,상대평가,고교내신,찬성,반대,내신,전환,장점,단점,문제점
7. conclusion(결론)
1. 들어가며
상대평가란?
순서
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참고資料로 많은 도움 되길 바라며 좋은 구매 평가 부탁드립니다~
목표 지향적 평가
90점 이상은 수, 80점 이상은 우로 표기하던 기존의 ‘수·우·미·양·가’ 방식의 절대평가와는 다름
설명
정부가 2014년부터 고교 내신 성적 평가 방식을 상대 평가에서 절대 평가로 바꾸는 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면서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둘러싼 해묵은 논재이 또 다시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현행 상대평가 제도와 새롭게 추진 중인 절대평가 제도의 개념 및 도입 취지와 장단점 등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고교 내신 평가 방안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4. 절대평가로의 전환, 왜?
이에 대부분의 교육 선진국에서는 절대평가 방식을 사용
개인의 학업성과를 ‘다른 학생의 성적과 비교’하여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로 평가하는 방법
내신 부풀리기 차단
정부가 2014년부터 고교 내신 성적 평가 방식을 상대 평가에서 절대 평가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면서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둘러싼 해묵은 논재이 또 다시 일어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