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운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2 15:03
본문
Download : 시의 운율.hwp
시의 운율에 대한 글입니다.시의운율 , 시의 운율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시의 운율.hwp( 33 )
순서
시의운율



,인문사회,레포트
시의 운율
3. 한국 시가의 율격 원리(음보율)
한국 시가의 율격 원리는 음보율(音步律)이다.
음보율이란 소리마디 즉 음보의 규칙적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율격으로서, 시조와 가사는 3~4음절로 된 음보 넷이 모여서 한 행이 되는 4음보율격을 가지고 있고, `아리랑`, `도라지`등의 민요는 3음보격이며, 고려 속요는 3음보격으로 된 작품이 많다.
(ⅰ) <생략(省略)>
-박인로, 「누항사」-
(ⅱ)밭 잃고 / 집 잃은 / 동무들아 //
어디로 / 가야만 / 좋을가 보냐 //
괴다리 / 봇짐을 / 짊어지고 //
아리랑 / 고개로 / 넘어간다 //
아버지 / 어머니 / 어서 오소 //
北間島 / 벌판이 / 좋다더라 //
쓰라린 / 가슴을 / 움켜쥐고 //
백두산…(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종래에는 음절수를 헤아려서 율격을 설명(說明)하는 음수율(音數律)의 방법이 통용되었으나 최근 10여 년의 국문학 연구에서는 음수율보다 음보율에 의한 설명(說明)이 우리 시의 characteristic(특성)을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음수율론이 음보율론에 의해 대체되기에 이르렀다.
시의 운율에 대한 글입니다.
우리 시가가 지닌 음보율의 원리와 characteristic(특성)을 구체적인 예로서 간략히 설명(說明)하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