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무처에 의한 행정통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11:43
본문
Download : 20052m_hangjungtongj.hwp
1. 설립목적
순서
<표 2> 연대별 직제개정 건수(50년대~90년대)
<그림 2> 총무처 출범시의 조직도(‘63.12)
Ⅰ서론
Ⅳ 결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제4공화국
Download : 20052m_hangjungtongj.hwp( 49 )
1)건국초기
총무처에 의한 행정통제
중앙인사기관 행정자치부 총무처 / (행정통제)
전문인사기구로의 내실화
중앙인사기관 행정자치부 총무처





4)제5공화국~문민政府(정부)
2. 구성
<표 1> 총무처 인사국의 변천(‘48.11~’01.12)
<그림 4> 고시훈련․조직․능률․의정국 신설시의 총무처 조직도(‘91.8)
2. 평가
중앙인사기관 행정자치부 총무처 / (행정통제)
<그림 1> 발족 당시의 총무처 조직도(‘48.11)
Ⅱ 총무처 변천 및 조직 진화 과정 :
2)제2공화국
<문민政府(정부) - 참여政府(정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그림 3> 고시국 신설시의 총무처 조직도(‘78.4)
Ⅲ 행정자치부
설명
3. 기능
[서지사항] 중앙인사기관으로서의 총무처는 우선 조직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독립성이 약하고, 합의성이 불충분하며, 인사업무 이외에 조직관리, 政府(정부)청사관리, 일반행정관리, 政府(정부)서무업무 등의 비인사기능을 담당하여 인사행정에만 전념하기 어렵고, 총무처가 타 부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월한 지위에 있지 못하며, 예산기능과 인사기능이 연결되어 있지 못하다는 독립성의 問題點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기능적으로도 인사기능 이외에 기타 여러 가지 비인사업무(政府(정부)청사관리업무, 政府(정부)기록보존업무, 政府(정부)전산업무, 의정업무 등)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인사전담기관으로서의 의의를 제대로 갖지 못한다는 점이 항상 지적되었다.
1. 변천 약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