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靑少年 복지사업의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2 13:37
본문
Download : 비행청소년 복지사업의 방향.hwp
(김성이 외 3인, 1999, 재인용)
2. 비행 靑少年 교정교육





(2) 촉법 소년 : 12세 이상 14세 미만 소년법에 저촉되는 행위 (형사상 책임 없음)
1. 법적처리
Ⅲ. 비행靑少年의 원인
(1) 범죄 소년 : 14세 이상 20세 미만 형벌 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아동 (형사상 책임)
설명
1. 워너의 theory 에 따른 청소년비행 유형
Download : 비행청소년 복지사업의 방향.hwp( 57 )
Ⅵ. 비행靑少年 복지사업의 방향
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비행청소년의 정의(定義)
2. 靑少年범죄의 特性
3. 靑少年범죄의 처리실태
1. 靑少年범죄의 동향
1. 내부 심리적인 면
2. 학교에서의 비행靑少年 복지사업
비행청소년의 개념 Ⅱ. 비행청소년의 유형 1. 워너의 이론에 따른 청소년 비행의 유형 2. 청소년의 일탈과 범죄․비행의 유형 Ⅲ. 비행청소년의 원인 1. 내부 심리적인 면 2. 외부 환경적인 면 Ⅳ. 비행청소년의 현황 1. 청소년범죄의 동향 2. 청소년범죄의 특성 3. 청소년범죄의 처리현황 Ⅴ. 비행청소년의 정책 및 프로그램 1. 법적처리 2. 비행 청소년 교정교육 Ⅵ. 비행청소년 복지사업의 방향 1. 가정에서의 비행청소년 복지사업 2. 학교에서의 비행청소년 복지사업 3. 지역사회에서의 비행청소년 복지사업 4.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비행청소년 복지사업
청소년비행이란 도덕적, 윤리적, 사회적 및 법률적 측면에서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옳지 못한 행동들이다.
1. 가정에서의 비행靑少年 복지사업
비행청소년,복지사업,청소년비행
Ⅱ. 비행靑少年의 유형
2. 외부 환경적인 면
2. 靑少年의 일탈과 범죄․비행의 유형
Ⅴ. 비행靑少年의 정책 및 호로그램
비행靑少年의 槪念
Ⅱ. 청소년비행의 유형
3. 지역사(歷史)회에서의 비행靑少年 복지사업
1. 워너의 理論(이론)에 따른 靑少年 비행의 유형
Ⅳ. 비행靑少年의 실태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비행청소년을 범죄소년, 촉범소년, 우범소년으로 나눈다. 즉 청소년비행은 청소년들이 행하는 음주, 흡연, 이성관계, 가출, 무단결석 등과 같이 특정연령 이하의 청소년이라는 지위 때문에 이를 위반했을 때 생기는 지위비행에서부터 절도, 강도, 강간 등과 같은 범죄행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행동들을 지칭한다.
4. 사회․文化(문화)적 차원에서의 비행靑少年 복지사업
워너(Weiner, 1982)는 비행자의 심리적 특징에 따라서 사회적 비행과 심리적 비행을 구분하였다. 비행이란 광의로는 범죄도 포함될 수 있고, 협의로는 미성년자들이 저지르는 옳지 못한 행동 중 비교적 가벼운 잘못된 행동을 뜻한다.비행靑少年 복지사업의 방향
순서
(3) 우범 소년 : 12시 이상 20세 미만 보호자의 정당한 감독에 복종하지 않은 성벽이 있거나(예: 무단 결석, 유흥장에 상습 출입 등), 정당한 이유 없이 가정에서 일탈하거나(예: 가출), 범죄성이 있는 자 또는 부도덕한 자와 교제하거나 자기 또는 타인의 덕성을 해롭게 하는 성벽이 있고, 우범성, 즉 그의 성격 또는 환경에 비추어 장래 형벌 법령을 범할 우려가 있는 자를 포괄적으로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