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침실(寢室)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3 14:57
본문
Download : 나의 침실(寢室)로.hwp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낭만적, 상징적, 퇴폐적, 감상적
심상 : 미지의 아름다운 세계를 동경하는 시인의 세계관을 표현
구성 :
1-2연 마돈나와 만나기를 바람
3연 먼동이 트기 전에 만나기를 원함···················발단
4연 침실로 가기를 원함
5연 초조함과 실망감
6연 시간의 흐름
7연 이상향에 대한 지향
8연 침실의 위치
9연 초조함과 기다림··············································전개
10연 새로운 행동에 대한 결의
11연 초시간적 공간인 침실로 가기를 원함…(drop)
지은이 : 이상화(李相和, 1901-1943) 시인. 호는 상화(尙火). 대구 출생. 의열단 사건으로 연루되어 옥고를 치름. 1921년 <백조... , 나의 침실(寢室)로기타레포트 ,
%EB%A1%9C_hwp_01.gif)
%EB%A1%9C_hwp_02.gif)
%EB%A1%9C_hwp_03.gif)
%EB%A1%9C_hwp_04.gif)
%EB%A1%9C_hwp_05.gif)
나의 침실(寢室)로
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가 대표작이다.순서
,기타,레포트
지은이 : 이상화(李相和, 1901-1943) 시인. 호는 상화(尙火). 대구 출생. 의열단 사건으로 연루되어 옥고를 치름. 1921년 <백조...
설명
Download : 나의 침실(寢室)로.hwp( 82 )
레포트/기타
지은이 : 이상화(李相和, 1901-1943) 시인. 호는 상화(尙火). 대구 출생. 의열단 사건으로 연루되어 옥고를 치름. 1921년 <백조> 동인으로 활동하며 ‘나의 침실로’ 등을 발표. 허무적 경향을 거쳐(1924년) 강렬한 민족 의식(저항적 경향)을 저변에 깔면서도 나라를 잃은 식민지 지식인의 슬픔을 탐미적인 수법으로 노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