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4 11:46
본문
Download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hwp
한국시가사연구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다.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국시가사연구
고려 속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관하여 분석하여 쓴 글입니다.
1. 서론
속요는「악학궤범」,「악장가사」,「시용향악보」,『고려사』「악지」등에 실려있는 고려시대의 노래로, 長歌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culture사, 1963.
·별곡 이병기·백철, 「국문학전사」, 신구culture사, 1957.
·俗謠 이명구, 「고려가요의 연구」, 신아사, 1973.
·청산별곡류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culture사, 1977.
·高麗歌謠, 俗樂歌詞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나 보편적으로 高麗俗謠(俗謠)라는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따
이 때까지 고려속요라 일컬어 온 작품은 <동동> <정읍사> <정읍사>는 『고려사』「악지」에 ‘백제악’으로 분류되어 있으나「악학궤범」에 가사가 실려 있어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려 속요로 보고 있따
<처용가> <정과정> 조윤제님은 <정과정곡>을 신라 향가의 10구체 계통이라 하였고, 정선풍님은 평범한 속요라기보다는 11구체 정격 향가의 계승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조윤제, 「韓國詩歌史綱」, 을유culture사, 1954.
정선풍, 「고려시대의 가요 문학」, <고려 가요의 형태적 고찰>, 새문사, 1986.
<정석가> <청산별곡> <서경별곡> <사모곡> <쌍화점> <이상곡> <가시리> <만전춘별사> <상저가…(ski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hwp( 50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
고려 속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관하여 analysis(분석) 하여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