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8 17:51
본문
Download :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hwp
우리 민족 고유의 화(和)의 사상은 담백을 통해 드러난다.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
2. 담백의 미학적 성향
요즘 미술은 개별적인 資料를 찾아 그것을 나열하는 資料중심 미술이다.
우리 나라의 흰 빛은 서양의 잡티가 하나도 없는 흰빛과는 다르다. 인간의 인식 속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여러 현상들을 사유를 통해 걸러내고 걸러내어 완정한 미적 가치가 발현되는 가운데어서 담백은 나타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비들의 도포는 투명하면서도 빛을 계속 반사하는 가운데에서 드러나는 가벼운 흰빛이다. 단순히 현상적인 잡팁만을 배제한 시각적 흰빛이 아니란 것이다. 또한…(省略)
레포트/예체능
설명
Download :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hwp( 97 )
담백의미
,예체능,레포트
담백의미 , 한국미의 이해- ‘담백’에 관하여예체능레포트 ,
순서



다. 하지만 우리의 미적 가치는 그 모든 개별적 資料들이 하나로 융화되어 새로운 맛을 내는 중화된 미술이라 볼 수 있따 젓갈이 삭혀져서 개별적인 생선들이 하나로 새로운 깊은 맛을 내듯 융화된 미술이 담백의 미학적 성향이라 할 수 있따
단순히 젓갈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러나오는 맛이라면은 미술의 영역에서 개별적 資料들이 융화되기 위해서는 작가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유하고 사유하는 과정을 통해 그 資料들의 본질들이 연결되어 그 본질만이 잡티가 배제된 본질만이 작품 속에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