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아 지도방법] 시각장애아동 보행지도 I. 안내법 안내법의 목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6 19:02
본문
Download : [시각장애아 지도방법] 시각장애아동 보행지도.hwp
설명
I. 안내법
안내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셋째, 정안자로 하여금 바로 안내를 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기 위해서이다. 둘..
시각장애아,지도방법,시각장애아동,보행지도,I,안내법,안내법,목적,기타,방송통신
다. 첫째 시각장애인이 정안자와 여러 가지 장소나 조건하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이다. 첫째 시각장애인이 정안자와 여러 가지 장소나 조건하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이다.
II. 보호법
보호법(Protective technique)은 익숙한 건물 내 환경에서 사용된다 보호법은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먼 거리를 보행할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1) 상부보호(upper hand and forearm)
1. 팔을 어깨높이로 지면과 나란히 및는다.
3) 스쳐가기(trailing) : 손등은 기준선에 스치면서 지나가는 방법이다.
둘째, 독립보행에 필요한 근육감각 경험을 함고 필요한 기술과 바람직한 동작을 익히기 위함이다. 첫째 시각장애인이 정안자와 여러 가지 장소나 조건하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이다. 둘.. , [시각장애아 지도방법] 시각장애아동 보행지도 I. 안내법 안내법의 목적..기타방송통신 , 시각장애아 지도방법 시각장애아동 보행지도 I 안내법 안내법 목적
[시각장애아 지도방법] 시각장애아동 보행지도 I. 안내법 안내법의 목적..
I. 안내법 안내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기준선과 나란히 서서 스쳐갈 물체에 접근한다…(省略)
순서
방송통신/기타
Download : [시각장애아 지도방법] 시각장애아동 보행지도.hwp( 53 )
I. 안내법 안내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3. 손바닥은 안으로 향하고 손가락을 함께 붙이며 긴장을 푼다.
2. 손은 몸에서 약 20cm정도 떨어지게 정중선에 오도록 한다.
2. 팔꿈치를 약 120`정도 굽힌다.
3. 손가락은 함께 붙이고 긴장을 풀며, 반대편 어깨선보다 약 3cm정도 밖으로 뻗치며 손바닥은 바깥쪽으로 향한다.
2) 하부보호(lower hand and forearm)
1. 위팔, 팔뚝, 손목과 손가락을 뻗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