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학(형사정책 부분) 문제 2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9 13:48
본문
Download : 교정학(형사정책 부분) 문제 2회.hwp
③ 소질을 중시하고 범죄적 성향은 유전한다고 설득한 생물학적 입장의 영국의 고링(Gorring)에게서도 비판을 받았다.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교정학(형사정책 부분) 문제 2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교정학(형사정책 부분) 문제 2회.hwp( 99 )
교정학기출문제시리즈 , 교정학(형사정책 부분) 문제 2회인문사회레포트 ,
5. 롬브로조의 생래적 범죄인설에 대한 說明(설명) 으로 틀린 것은?
① 생래성 범죄인은 격세유전적인 유형이고 범죄자란 원시인의 뇌를 가지고 있따
② 롬브로조의 인류학적 유형설은 프랑스 environment학파나 타르드의 사회학적 입장에서 비판되었다.
④ 생래범죄인은 형태학적으로 볼 때 두개골의 특징?신체적 특징?정신적 특징?사회적 특징이 있따
⑤ 미국의 후톤(Hooton)은 그의 저서 『범죄와 인간』에서 생래성 범죄인설을 비판하였다.
② C. Goring과 E. A. Hooton은 범죄인이 일반인과 다른 신체적 특징을 가졌다는 롬브로조의 견해를 반박하였다.
6. 다음 중 잘못된 기술은?① Lombroso도 만년에는 범죄의 생물학적 요인보다 environment적 요인에 더욱 주목하였다.
7…(skip)① 머튼의 아노미理論(이론) ② 레클리스의 자기관념理論(이론)
③ 코헨의 중화기술理論(이론) ④ 클로워드?올린의 기회차별理論(이론)
⑤ 따르드의 모방의 법칙
교정학기출문제시리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