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5 22:42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hwp
왕의 실록은 반드시 해당 왕의 사후에 작성되었으며, 임금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록을 열람할 수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켜내기 위하여 매우 엄격한 규율에 따라 작성되었다. 사관들은 독립성과 비밀성을 부여 받아 사소한 사항까지도 왜곡없이 있는 그대로 작성할 수 있었다.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
![[사회과학]%20●조선왕조실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_hwp_01.gif)
![[사회과학]%20●조선왕조실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_hwp_02.gif)
![[사회과학]%20●조선왕조실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_hwp_03.gif)
![[사회과학]%20●조선왕조실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_hwp_04.gif)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은 태조부터 철종(1392~1863, 472년간)까지 25대에 걸친 조선 왕조의 歷史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歷史서로서, 별칭 《조선실록》이다.
《조선왕조실록》은 총 1,893권 888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49,646,667자의 방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따 현재 남아있는 정족산본 1,181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 총 2,077책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 지정되었다.
…(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 ,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
사회과학,●조선왕조실록,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
Download : [사회과학] ●조선왕조실록.hwp( 44 )
설명
순서
다. 대한제국의 황제 고종과 순종도 조선 왕실의 26대 및 27대 군주로 인정되고 있지만,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그 내용이 일제 강점기에 작성되어 Japan 제국의 influence(영향)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학계는 보편적으로 신뢰될 수 있는 사료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였으므로 조선왕조실록의 일부가 아닌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