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풍수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8-13 21:44
본문
Download : 한국의 풍수지리.hwp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의풍수지리
풍수의 술어(용어)
풍수설에서는 지맥을 용(龍)이라 칭하고 이 지맥이 생기를 맺는 곳을 혈(穴)이라 하며, 이 혈의 주위를 둘러싼 산, 언덕들을 사(砂)라고 부른다.한국의풍수지리 , 한국의 풍수지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풍수지리.hwp( 72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한국의 풍수지리
다. 또한 용은 음양이 조화된 것이므로 산의 무궁무진한 alteration(변화) 와 예측하기 어려운 조화가 마치 용과 같다고 하는 뜻에서 온 것이라고 말해지기도 한다. 그리고 이 용맥이 일기일복(一起一伏), 좌절우곡(左折右曲)하는 곳은 나무 줄기가 가지를 분출하는 곳이나 대나무의 마디와 마찬가지이므로 이곳을 절이라고 …(생략(省略))
한국의 풍수의 의의와 목적, 관련 용어, 법술 등에 대상으로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맥(脈), 절(節) : 용은 주로 그 형태에서 이름지어진 것이지만, 용신(龍身)에 따라 음양의 생기가 유동하는 것은 마치 인체(人體)의 맥락에 기혈이 운행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생기의 운행이란 접에서 말할 때는 이를 맥이라고 한다.
설명
한국의 풍수의 의의와 목적, 관련 용어, 법술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양기(陽基) : 죽은 자의 안택인 음택에 대해, 양(陽)은 산 자의 주택지 또는 도성 읍촌의 기지(基地)를 말한다.
음택(陰宅) : 묘지. 산 사람의 양(陽)인 데 대해, 음(陰)은 죽은 자의 안주지인 까닭에 이렇게 부른다.
용(龍) : 땅의 기복을 용이라 하는 것은 그 모습이 마치 용과 같다고 하는 점에서이다.
그럼 풍수의 술어(용어)를 열거하여 說明(설명) 을 붙여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