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에서의 공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12:31
본문
Download : {아함경}에서의 공사상.hwp
구차제定義(정의) 하나 하나의 의의에 관해서는 다음의 경에 잘 설명(說明)되고 있다아
초선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말(언어)이 고요히 사라지고(적멸), 이선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감각과 observe이 고요히 사라지고, 삼선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즐거운 마음(희심)이 고요히 사라지고, 사선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들고 나는 숨(출입식)이 고요히 사라지고, 공입처를 바르게 받을 때에는 색깔과 형태라는 생각(색상)이 고요히 사라지고, 식입처를 바르게 받을 때에는 공입처라는 생각이 고요히 사라지고, 무소유입처를 바르게 받을 때에는 식입처라는 생각(식입처상)이 고요히 사라지고, 비상비비상입처를 바르게 받을 때에는 무소유입처라는 생각(무소유입처상)이 사라지고, 상수멸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생각을 받음(상수)이 고요히 사라진다. dhyāna는 선, 선나 등으로 음역되거나, 정, 정려, 사유, 수정 등으로 의역되거나, 선정, 선사등으로 음역과 의역을 혼합하거나 하여 한역되고 있다아 아함경에 나와있는 선定義(정의) 종류는 사선, 사무색정, 안나반나념, 사무량심, 삼매, 팔해탈, 팔승처, 십일체처, 십상, 삼십칠조도품 등 여러가지가 있다아 이들 가운데 공과 관련되어 설해지는 것은 삼삼매체계에서의 공삼매와 사선과 사무색정을 합한 팔선체계, 또는 여기에 멸진정을 더한 이른바 구차제정체계에서의 공처정 등 둘이다. 공삼매는 다음 장에서 논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공처정을 살펴보자.
초선, 이선, 삼선, 사선, 공처정, 식처정, 불용처정(무소유입처정), 유상무상처정(비상비비상처정), 멸진정(멸상정) 등의 구차제정은 거쳐 올라가고 내려가는 순서대로 배열된 것이다.(잡아함 17권474[…(drop)
Ⅲ. 공처정선은 산스크리트어 dhyāna의 음역이다.
선은 산스크리트어 dhyāna의 음역이다. 이것이 점차로 모든 행이 멈추어 없어지는 것이다. dhyāna는 선, 선나 등으로 음역되거나, 정, 정려, 사유, 수정...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아함경}에서의 공사상.hwp( 42 )
레포트/인문사회
Ⅲ. 공처정
선은 산스크리트어 dhyāna의 음역이다. 이것이 점차로 모든 행이 고요히 사라지는 것이다. ......, 초선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말이 멈추어 없어지고(지식), 이선을 ......, 상수멸을 바르게 받을 때에는 생각을 받음(상수)이 멈추어 없어진다. dhyāna는 선, 선나 등으로 음역되거나, 정, 정려, 사유, 수정... , {아함경}에서의 공사상인문사회레포트 ,
{아함경}에서의 공사상
Ⅲ. 공처정






설명
순서
다.